1. 숫자 표기는 아라비아 숫자를 원칙으로 한다.
○ 한글 받침의 가짓수는 모두 27이다.
○ 누나의 나이는 15살이다.
2. 관용구·성구(成句)는 한글로 쓴다.
○ 오십보백보( ← 50보100보)
○ 십인십색( ← 10인10색)
3. 역사적 이름은 한글을 쓴다.
○ 삼십년 전쟁( ← 30년 전쟁)
○ 삼일천하( ← 3일 천하)
* 단, 시각적 효과를 노린 경우 숫자로 표기 할 수 있다.
○ 육이오동란 → 6·25 동란
○ 삼일정신 → 3·1정신
4. 고유명사처럼 쓰이는 말이나 행사명도 한글로 쓴다.
○ 오십음(일본의 50음)
○ 사십구재( ← 49재)
5. 수치의 범위를 나타낼 때엔 숫자를 줄이지 않는다.
○ 3~500명 → 300~500명
○ 3,056~58 → 3,056~3,058
6. 서기연도나 전화번호는 줄일 수 있다.
○ 1995~98년
○ 3056~59
* 단 ‘1894년~1904년’ 인 경우엔 줄이지 않음
7. 수량은 만 단위로 띄어 쓴다.
○ 십이억 삼천오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(12억 3,456만 7,898).
'자료 > 우리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편지봉투 쓰는 법 (0) | 2009.06.14 |
---|---|
구별해야 할 우리말 맞춤법 (0) | 2009.05.07 |
바른말 찾기 (0) | 2009.05.07 |
띄어쓰기 (0) | 2009.05.07 |
띄어쓰기의 원리와 실제 (0) | 2009.05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