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://www.armorsch.kr/pop/EP-bank/sub7_2.htm
학점은행제란?
학점은행제 개념
- |
학점은행제는 「학점인정 등에 관한법률」(법률 제6434호)에 의거하여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 및 자격을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고, 학점이 누적되어 일정기준을 충족하면 학위 취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열린 교육사회, 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. | |
군 교육훈련 학점은행 목적 |
- |
군사학 학위 제정을 통해 미래전에 대비하고 유사시 전쟁 수행을 주도할 군사 전문가 육성기반을 구축하고, 군 복무 중의 교육훈련,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획득한 지식 등에 대한 사회적 인정체제 구축 및 중단 없는 학습여건을 조성하는 데에 있습니다. | |
학위 취득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. |
- |
학사/전문학사 학위 수여 요건
구 분 |
학사학위 |
전문학사 학위 |
2년제 |
3년제 |
총학점 |
|
80학점 이상 |
120학점 이상 |
전 공 |
|
45학점 이상 |
54학점 이상 |
교 양 |
|
15학점 이상 |
21학점 이상 |
 |
이수학점 중 학점은행제 평가인정학습과목 또는 시간제등록을 통해 이수한 학점이 반드시 18학점 이상 포함되어야 합니다 | |
- |
타전공 학위수여 요건
구 분 |
학사학위 |
전문학사 학위 |
2년제 |
3년제 |
학위소지자로서 타전공 학위수여 요건 |
|
36학점(전공필수요건포함) |
|
학사 → 학사학사 → 전문학사 (3년제/2년제) | |
2년제 → 2년제 전문학사 전문학사 |
|
이수학점 중 학점은행제 평가인정학습과목 또는 시간제등록을 통해 이수한 학점이 반드시 18학점 이상 포함되어야 함 | |
 |
타전공 학위는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명의로 수여됩니다. |
 |
전공 학점은 학위취득일 이후 이수한 평가인정학습과목 또는 시간제등록 학습과목, 학점인정대상학교 학습과목으로 신규 취득해야 합니다. (자격증, 독학학위제 시험합격 및 시험면제교육과정 이수학점은 포함 안됨) | | | | |
대상별(장교, 부사관, 특기병) 학위취득 및 학점인정
장교 과정(군사 학사)
- |
「학점은행제 군사 학사」학위는 학사 학위 소지자가 군사학 전공 분야의 과목을 48학점이상 취득할 경우 수여되는 학위를 말합니다. |
- |
육군 장교로 임관하여 육군정보통신학교에서 보수교육(초군반?고군반)을 통하여 전공학점(전공필수 과목 포함) 48학점 이상을 이수하면 군사학사 학위를 취득하게 됩니다.
구 분 |
과 정 명 |
이 수 기 관 |
학사 학위 |
소 위 |
|
육군기계화학교 |
24 |
대 위 |
|
육군기계화학교 |
24 |
|
48 |
 |
육사, 3사 : 사관학교 졸업과 동시에 군사학 학사 학위 취득 | | |
부사관 과정(군사 전문학사) |
- |
부사관이 군내 교육훈련 이수를 통하여 소정의 학점을 인정받고 국가 기술자격 취득, 민간 교육기관의 평생학습 프로그램 이수 등 각종 평생 학습제도를 활용하여 학점을 인정받아 학점은행제에 의한 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. |
- |
전문대학 또는 대학교 졸업자는 육군 부사관학교의 양성교육과 각 병과학교의 보수교육(초급반 및 중급반)을 통하여 전공학점(전공필수 과목 포함) 35학점 이상을 이수하면 군사 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.
구 분 |
과 정 명 |
이 수 기 관 |
전문학사 학위 |
하 사 |
|
육군부사관학교 |
12 |
하 사 |
|
육군기계화학교 |
12 |
중 사 |
|
육군기계화학교 |
21 |
|
45 | |
- |
고등학교 졸업자는 육군 부사관학교의 양성교육과 육군기계화학교의 보수교육(초급반/중급반)을 통하여 전공 45학점을 이수하고, 학점은행제 교육기관(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등), 대학 시간제등록, 독학학위제 등으로 교양과목 또는 일반선택 과목을 이수하여 학점인정을 받습니다. (단, 교양은 15학점 이상이 되어야 하며, 총 80학점을 취득하면 군사 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.) |
- |
전문대학 또는 대학교 중퇴자는 전문대학 또는 대학교에 다니면서 인정받은 학점 (전문대학은 80학점 이내, 대학교는 140학점 이내)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전문대학 기계과 중퇴자가 해당 대학에서 인정받은 학점을 총 36학점이라고 가정(교양 9학점, 기계전공 21학점, 일반선택 6학점)하면, 이 경우, 군사 전공학점은 병과학교를 통하여 이수하고, 민간 교육기관을 활용하여 교양 6학점을 이수하면 군사 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게 됩니다.
구 분 |
전문대학의 학점 |
군사 전공 연계 인정 학점 |
이수할 학점 |
전문학사 학위수여 요건 |
교양학점 |
|
9학점 |
6학점 |
15학점이상 |
전공학점 |
|
- |
45학점 |
45학점이상 |
일반선택 |
|
|
- |
- |
계 |
|
36학점 |
51학점 |
80학점이상 | | |
특기병 (학점인정) |
- |
군 복무 중인 병사가 학점인정 등에 관한법률에 의한 평가인정을 받은 교육훈련 이수를 통하여 취득한 학점을 학점은행제 및 대학의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. 학기당 3학점 이내, 연 6학점 이내로 군 복무기간 중 최대 12학점 취득이 가능 합니다. |
- |
특기병 평가인정 과정 및 학점
학습과정 (학습과목) |
인정학점 |
전차승무병(자동차 정비기초 실습) |
2 |
전차정비병(자동차 공학) |
3 |
장갑승무병(자동차 정비 기초 실습) |
2 |
장갑정비병(자동차 공학) |
3 |
포탑정비병(공유압 실습) |
2 | | | | |